지간신경종의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자세히 알아보기


지간신경종은 발의 통증을 유발하는 흔한 질환으로 발가락 사이에 있는 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간신경종의 원인과 주요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지간신경종의 원인


지간신경종은 주로 중족골 사이의 인대 아래에서 발가락으로 향하는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여러 요인이 이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1) 인대 비후

중족 지골 간의 인대가 두꺼워지면 신경이 눌리게 되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무지외반증

이 질환은 발가락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신경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3) 잘못된 신발 착용

좁고 높은 구두 또는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신경에 압박을 가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운동 습관

잘못된 운동 방법이나 과도한 운동량 또한 발바닥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딱딱한 바닥에서 오래 걷는 경우 신경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여러 원인들이 결합되어 지간신경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신발 착용과 적절한 운동이 중요합니다.

2. 지간신경종의 증상


지간신경종의 주된 증상은 발가락 뿌리 부분에서 신경의 압박과 두꺼워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1) 타는 듯한 통증

발 앞부분, 특히 두 번째와 세 번째, 혹은 세 번째와 네 번째 발가락 사이에서 타는 듯한 찌릿찌릿한 통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2) 보행 시 통증 심화

걸을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지며 쉬면 통증이 다소 완화될 수 있습니다.

3) 신발 착용에 따른 통증 변화

굽이 높은 신발이나 발이 조이는 신발을 착용했을 때 통증이 심해지며 신발을 벗거나 부드러운 바닥을 걸으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간신경종과 족저근막염은 혼동하기 쉬운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염은 주로 발뒤꿈치에 통증이 생기지만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발 앞쪽으로 통증이 퍼질 수 있습니다.

3. 통증 확인하는 방법


1) 통증 위치 확인하기

편안한 자세로 앉아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를 천천히 눌러봅니다. 주로 세 번째와 네 번째 발가락 사이에서 통증이 느껴진다면 지간신경종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2) 신발 착용 후 통증 변화 확인하기

자주 신는 신발을 착용하고 통증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특히 하이힐이나 조이는 신발을 신었을 때 통증이 어떻게 변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봅니다.

3) 발가락 사이 압박 테스트

손으로 세 번째와 네 번째 발가락 사이를 살짝 눌러봅니다. 이때 통증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통증의 정도를 기록합니다.

이 외에도 신발을 벗거나 발을 쉬게 했을 때 통증이 완화되는지 확인해봅니다.

4. 지간신경종의 치료 방법


지간신경종의 치료는 여러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초기에는 보존적인 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보존적 치료

발 마사지를 하거나 굽이 낮고 발볼이 넓은 신발을 착용하여 발 앞쪽의 압력을 줄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초기 증상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2) 약물 치료

필요할 경우 통증 완화를 위한 경구 약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염증이 동반된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주사 치료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4)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신경을 압박하는 인대를 제거하는 신경감압술과 신경종을 절제하는 신경종 절제술이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었던 경험이 있는데 그로 인해 발가락에 심한 통증이 생겼었습니다. 다행히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어서 치료를 받으며 발을 쉬게 해 줬는데요. 상태가 많이 호전되어서 그 이후로는 발에 맞는 편안한 신발만 착용하고 다닙니다! 여러분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으시면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 이전